좌표계란 기하학적으로 공간에 수치적 정보를 표현 하기위해 만들어 낸 것입니다.
여러 좌표계가 존재 하지만 일반적인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3d 좌표계 : x,y,z 세계의 축이 존재 하며 각 축들은 직교 합니다.
2d 좌표계 : x,y 두 축이 존재하며 각 축들은 직교 합니다.
이제 벡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수치적 양을 표현할때 질량이나 키 넓이 등은 실수 하나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가속도 속도 등 방향과 크기 같이 존재하는 양도 존재를 합니다.
여기서 크기만 있는 양을 스칼라고 하고 이 스칼라와 방향이 같이 존재 하는 양을
벡터 라고 합니다.
위치벡터
벡터는 공간이나 평면상에 존재 할수 있는데요 시점과 상관없이 방향과 크기가 같다면 같
은 벡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의 벡터는 시점이 달라 두 벡터를 비교 하거나 분석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다루기 편하기 위해 좌표공간 ,평면상에 원점( 좌표 수치가 0인 지점)에 시점을
두게 되었습니다.
다. 점A에 대한 벡터 OA는 하나만 존재 하게 됩니다.
여기서 벡터OA를 원점 O에 대한 점A의 위치 벡터 라고 하며 시점을 원점에 고정 시키면
점 A와 벡터 OA는 일대일 대응을 합니다.
그러므로 공간산의 모든 점들은 벡터로 표현 할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