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대의 카메라가 각각 눈의 위치에서 영상을 찍습니다.
전에 설명했던 양안식 이론에 근거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기 위합입니다.
이렇게 하나의 사물찍은 두개의 영상을 어떻게 보는냐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게 됩니다.
크게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나뉘는데 일단 안경식에 대해 말 해보겠습니다.
적청방식
비용이 저렴한 편이라 많은 사람들이 경험 해봤을 것입니다.
저도 어릴적 과학시간에 만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오래되었고 주위에서 흔이 쉽게 볼 수 있는 방식입니다.
원리는 두가지 다른 색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눈에 보여질 영상을 다르게 보이게 하는
원리입니다.
손쉽게 입체감을 구현 할수 있지만 색체감이 나쁘고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편광 방식
영화 '아바타'를 한국에서 상영하면서 썼던 방식입니다.
혹시 극장에 나눠주던 안경을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편광필터 안경이죠 오른쪽 왼쪽에 받아들이는 영상이 틀립니다.
빛은 횡파로 진동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어느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편광이라고 합니다.
자연광은 비편광이라고 하며 저런 진동이 여러방향으로 (360도 방향) 동시 다발적 으로
이루어집니다.
저런 빛의 파장을 인위적으로 방향을 걸러내거나 받아 들일 수 가 있는데
이를 편광필터라고 합니다.
비편광이 필터를 통해 인위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만 투과 하거나
우리눈에 수용되게 처리 가 가능 합니다.
이원리를 이용해 3d입체를 표현합니다.
모니터에서 2가지 영상을 (양안식 이론에 근거하여) 다른 방향의 파장으로
출력을 하고 이를 편광필터 안경 으로 통해 오른쪽눈과 왼쪽눈에 각기 다른영상의
정보를 투과할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비교적 오랜 사용에도 피로감이 덜 해 많이 이용 되는 방식중에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해상도가 두가지 영상을 한 화면에 담아 내야하기때문에
절반으로 떨어집니다.
셔터 방식
일단 모니터에서 2가지 영상이 번갈아 가면서 출력이 됩니다.
순차적으로 첫 프레임에는 오른쪽눈에 보여질영상이 보여지고
다음 프레임에는 왼쪽눈에 보여질 영상이 출력 이 됩니다.
그다음 프레임에는 오른쪽눈에..
이런식으로 번갈아면서 출력이 됩니다.
그럼 셔터 글라스에는 오른쪽눈에 보여질 영상이 출력될때는
왼쪽눈 글라스가 보여지지 않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오른쪽에 눈에만 오른쪽눈에 보여질 영상만 볼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두가지 영상이 번갈아가면서 눈에 인식이 되면서
양안식이론에 의해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셔터 글라스가 다른 글라스에 비해 고가이며 어지러움증 등에 부작용이 있습니다.
비안경 식을 설명하겠습니다.
시차 장벽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이미지 출처 wikipedia
오른쪽 눈과 왼쪽눈이 볼수 있는 픽셀을 나누기 위해 특수한 슬롯을 스크린앞에
장착하여 두가 지 다른 영상을 인지 할 수있게 해줍니다.
입체감이 많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특히 극장이나 대형 티비에서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입체감이 현저한 차이 가 보여 진다고 합니다.
입체 카드나 입체 책받침등을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접할수 있는 것의 원리 인데요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가 보이는 방식인데요
스크린위에 랜즈를 두어 빛을 굴절 시켜 두눈이 다른 영상을 보게 하는 것입니다.
시차 장벽 방식보단 입체감이 더크고 시야각이 더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렌타큘라 렌즈때문에 디스플레이 단가 가 높고 고해상도 구현이 어렵다고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